top of page

공장화재보험 / 금속가공, 조립, 의장

 

보험설계과정

 

 

 

 

 

 

 

 

보험문의가 접수되면 해당 공장의 주소지와 기본정보를 받아

건축물대장 확인, 업체규모확인 등 방문전 사전준비를 합니다. 

 

사전준비가 끝나면 해당 사업주(보험업무담당 실무자)와 미팅을

잡고 해당 업체의 방문하여 업종분석, 건물 감정액 평가, 위험물

확인, 해당 사업체의 실재규모 등 업체의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

합니다.

 

답사 분석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업체의 리스크를 최대한으로 보장할 수 있는 설계를 실시합니다.

 

9개보험사와 컨텍하여 인수조건을 확인하고 비교한 후

가장 좋은 조건의 보험사를 선정하여 인수심의 과정을 거칩니다.

 

심의 후 인수여부가 결정되면 해당 사업장에 견적서를 제공하고

사업체에서 원하는 보험사를 선택하여 보험에 가입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공장의 95%가 3급건물 혹은 3,4급 혼합 건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건물은 공장, 기타 작업장, 공장구내의 부속시설 등으로 구분되어 있고, 대부분 천막구조물이 혼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가입의뢰를 받고 이전에 가입된 보험증서를 분석해 보면

이러한 건물의 구조가 제대로 반영되지않는 경우가 60% 이상입니다. 

 

뿐만아니라, 3급건물의 특성상 매년 2~2.5%의 재산상의 가치가 

감가상각 되고, 한국감정원에서 책정한 공식 감정가인 신축건물 단가표에 제시된 감정가만큼의 금액이 보험가액으로 책정되지

않아 보험을 가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발생시 비례보상으로 인한 금전적 손실을 사업주가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상황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업체의 업종을 확인해 보면 위험률이 높아 인수가 어려운 업체인데 보험가입시 업종의 형태를 속이고 가입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이러한경우 상법상 사기계약의 형태로 차후 사고발생시

보험금이 지급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게 됩니다.

 

 

 

공장화재보험의 특징

 

공장 화재보험 가입시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

 

   1.정확한 보험 목적물 소재지 : 가입하고자 하는 건물의 주소

   2.건물의 구조급수/건축년도 : 단독건물, 감가적용의 건축년도

   3.정확한 건물면적 : 건축물대장에 나와있지 않은 증축물등 정보 중요

   4.정확한 업종 : 요율적용의 기준, 부정확한 요율적용은 보험금 미지급사유

   5.정확한 가입금액 : 각 목적물의 부정확한 가입금액은 보상시 문제가 됨

 

공장 화재 보상의 이해

   전부보험 : 각 목적물의 부정확한 가입금액은 보상시 문제가 됨

   일부보험 : 비례보상(실제 가액보다 보험을 적게 가입한경우)

   초과보험 : 비보험가액을 한도로 손해액 전액

           지급보험금 = 손해액 x보험가입금액 / 보험가액

   

   보험급지급예) 

     목재공장을 운영중인 김00사장님의 공장에 화재가 발생하여 3억원의 손해가

     발생했다. 김00사장님은 한달전 S화재 보험에 가입하였는데 보험가입금액은 3억        보험가액은 10억이였다. 

 

     김사장님은 3억의 손해를 입고 보험에 가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억 5천만원의

     보험금을 지급받았는데, 왜 그렇게 되었을까?

      

        김사장님은 일부보험에 가입되어 비례보상의 원칙에 따라 

     보험가액의 50%인 1억 5천만을 지급받게 된것입니다. 

     보험가입 의뢰를 받아 확인해 보면 이러한 상황으로 향후 사고발생시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사장님들이 많으시죠.

 

 

 

금속가공, 조립, 의장업의 특징 

  세부적으로 금속가공이라 함은 주조, 단조, 압연, 절삭, 절단, 용접, 연마,

  다이캐스트, 프레스, 샌드브라스트, 열처리, 표면처리(도금, 알루마이트 가공)   분말야금등 작업을 말합니다.

 

  사업체 사장님들 만나뵈면, "우리 불날일 없어~" 라시며 가공전 재료에

  라이타불 대보시는 분들도 계신데요.

  여러 화재사고 소식들을 보면 금속가공공장에서 사고나는 건들이 빈번히

  눈에 띔니다.

 

  도장공정이나 인쇄작업이 들어가는 경우는 요율이 변경 되기 때문에 , 

  공정과정중 이 두과정이 있다면 금속가공이 아닌 해당 공정에 맞는 요율을

  적용해야되는 특징이 있겠습니다.

 

  공장화재보험의 경우 화재위험도가 자주 변경되기 때문에 장기화재보험을 

  가입하시는 것이 유리하시답니다.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356번지 두덕빌딩 4층 코퍼레이션케이알 기업보험팀 

Tel : 070-4009-3827  /  Fax : 0505-690-2000  /  Mobile :010-5880-6811    

bottom of page